알고리즘
버블 정렬 (C/C++ 구현, 시간 복잡도)
홍시홍
2019. 9. 17. 23:12
1. 버블 정렬
거품 정렬(Bubble sort)은 두 인접한 원소를 검사하여 정렬하는 방법이다.
출처 - 위키피디아(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A%B1%B0%ED%92%88_%EC%A0%95%EB%A0%AC)
나의 해석 : 현재 인덱스와 다음 인덱스를 비교해서 현재 인덱스가 크다면 한칸씩 교환해준다.
요구 사항
1. 배열 오름차순으로 구현
풀이 방법
전체 인덱스를 n번 연산하여 정렬한다.
1. 0~n번 인덱스까지 서로 인접한 인덱스 비교한다.
1.1 첫번째 정렬에서 제일 큰 인덱스 n번째 인덱스로 이동
1.2 두번째 정렬에서 2번째 큰 인덱스 n-1번째 인덱스로 이동
2. 1번을 n번 반족
시간 복잡도
1번째에서 n-1번 비교
2번째에서 n-2번 비교
n번째에서 1번 비교
n* ( (n-1) + (n-2) + ....+ 1 )
O(n^2)
특징
구현이 쉽다
O(n^2)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
교환 비용이 많이 들어 활용 안된다.
소스 코드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a[5] = { 5,4,3,2,1 };
void swap(int &a, int &b)
{
int temp = a;
a = b;
b = temp;
}
void bubble_sort(int list[])
{
int j;
for (int i = 0; i < 5; i++)
{
for (int j = 0; j < 5 - i-1; j++)
{
if (list[j] > list[j + 1])
{
swap(list[j], list[j + 1]);
}
}
for (int i = 0; i < 5; i++)
cout << a[i] << " ";
cout << endl;
}
}
int main()
{
bubble_sort(a);
for (int i = 0; i < 5; i++)
{
cout << a[i] << " ";
}
return 0;
}